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4. 전통적 자연관과 자연 친화 (2) 서구적 자연관과 환경 문제(교과서 253~256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
[서구 사상에 나타난 자연관]
(1) 서구 사상의 이분법 사유 : 플라톤 이후 근대까지 지속됨
- 플라톤 : 이데아와 현상계로 구분
- 그리스도교 : 천국와 지옥, 내세와 현세, 영혼과 육체
- 17세기 계몽주의 시대 : 미숙한 자연은 성숙한 이성에 의해 극복되어야 할 존재로 여김
예) 베이컨-방황하고 있는 자연을 사냥해서 노예로 만들어 인간의 이익에 봉사하도록 해야 한다.
(2) 이분법적 사유의 문제점
- 인간 중심적 시각 : 인간과 자연의 분리
- 성 차별적 시각 : 남성과 여성의 분리
- 모든 것을 분리하는 사고 : 수많은 한계와 문제 초래 → 사실과 가치, 과학과 윤리의 분리
[서구적 자연관의 특징과 문제점]
(1) 기계론적 자연관, 세계관, 인간관 : 자연의 변화를 기계론적 인과 관계로, 세계를 독립적인 입자들의 관계로, 인간을 생명 없는 물질적 존재로 간주
- 데카르트 : 동물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기계에 불과하다는 ‘동물 기계론’을 주장
- 라메트리: 인간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계에 불과하며 인간의 정신은 뇌의 물질적 작용이라고 봄 - 인간기계론
(2) 환원주의적 입장
- 추상적이고 일반화된 이론이 구체적이고 생생한 인간의 경험보다 진리인 것처럼 여기고, 자연현상이 지닌 복잡한 양태들을 무시
- ‘잘못 놓여진 구체성의 오류’(화이트헤드) : 추상적이고 일반화된 이론이 오히려 구체적이고 생생한 인간의 경험보다 진리인 것처럼 여겨지는 오류를 비판한 것임
[서구적 자연관의 한계와 대안 모색]
(1) 서구적 자연관(이분법, 기계론, 환원주의)의 한계 : 자연을 생명이 결여된 입자들의 기계적 운동으로 파악함으로써 자연 본래의 가치를 무시함 → 생태적 공동체주의로 전환
(2) 서구의 근대적 자연관에 대한 반성 : 유학의 천인합일, 도가의 무위자연, 불교의 자비 사상 등동양 사상에 관심을 갖게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