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4. 전통적 자연관과 자연 친화
(1) 조상들의 자연관(교과서 249~252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유 불 도 사상에 나타난 자연관]

      (1) 유학의 자연관 - 천일합일 사상

    • 자연은 만물을 낳는 것을 마음으로 삼고, 인간은 자연의 마음을 물려받아 자신의 마음으로 삼음.
    • 인간에게  생명력을 부여해 준 자연에 대한 감사와 보답의 뜻이 담겨 있음
    • 바람직한 삶 : 자연의 도를 본받아 다른 인간과 존재들에게 인(仁)을 베푸는 것

      (2) 도가의 자연관

    • 인위적 조작과 통제를 거부하는 무위의 삶
    • 바람직한 삶 : 자연의 질서를 본받아 무위의 삶을 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봄

      (3) 불교의 자연관

    • 연기 사상 : 모든 존재가 인연에 의해 생겨난다고 봄 → 인연생기(因緣生起)
    • 상의성(相依性)
    • - 공존의 법칙 : 저것이 있을 때 이것이 있고, 이것이 있을 때 저것도 있게 된다.

      - 모든 존재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상호 연관성을 지님

      - 인간의 타 존재에 대한 정복이나 지배는 지연의 원리에 위배되는 폭력임

        예) 아함경의 비유

        - 갈대 묶음의 예(세상의 어떤 존재도 혼자 힘만으로는 독립해서 존재할 수 없다.)

[동양적 자연관의 기본 정신]

      (1) 상의와 화해

    • 상의(相依)-모든 사물이 서로 의존해서 존재한(3)
    • 화해(和解)-상호연관성, 의존성 = 상의성 = 연기

      (2) 상호의존성: 인타라망(網) - 제석천에 있는 큰 그물로서 각각의 그물코에 달린 보석들이 서로 에게 빛을 주고받아 반사함으로써 무궁무진한 상호 의존의 세계를 이룸

      (3) 화해의 세계관 : 경쟁과 다툼 대신 협력과 화해를 중시하는 세계는 상호의존과 협동을 통해 더 욱 아름답게 된다고 봄  

[동양적 자연관의 가치와 교훈]

      (1) 근대 이후 - 정복 지향적 자연관 : 자연을 정복 대상과 이용 자원으로 보고 자연 남획, 파괴, 자  원 고갈, 환경 오염 초래, 인간의 안식처마저 위협 받음.

      (2) 환경문제 해결의 대안 - 동양적 자연관 : 만물 평등 옹호론 → 이 세상 모든 존재는 제각기 고유  한 가치를 지니는 평등한 존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