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4. 전통적 자연관과 자연 친화
[유 불 도 사상에 나타난 자연관]
(1) 유학의 자연관 - 천일합일 사상 (2) 도가의 자연관 (3) 불교의 자연관 - 공존의 법칙 : 저것이 있을 때 이것이 있고, 이것이 있을 때 저것도 있게 된다. - 모든 존재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상호 연관성을 지님 - 인간의 타 존재에 대한 정복이나 지배는 지연의 원리에 위배되는 폭력임 예) 아함경의 비유 - 갈대 묶음의 예(세상의 어떤 존재도 혼자 힘만으로는 독립해서 존재할 수 없다.) [동양적 자연관의 기본 정신]
(1) 상의와 화해 (2) 상호의존성: 인타라망(網) - 제석천에 있는 큰 그물로서 각각의 그물코에 달린 보석들이 서로 에게 빛을 주고받아 반사함으로써 무궁무진한 상호 의존의 세계를 이룸 (3) 화해의 세계관 : 경쟁과 다툼 대신 협력과 화해를 중시하는 세계는 상호의존과 협동을 통해 더 욱 아름답게 된다고 봄 [동양적 자연관의 가치와 교훈] (1) 근대 이후 - 정복 지향적 자연관 : 자연을 정복 대상과 이용 자원으로 보고 자연 남획, 파괴, 자 원 고갈, 환경 오염 초래, 인간의 안식처마저 위협 받음. (2) 환경문제 해결의 대안 - 동양적 자연관 : 만물 평등 옹호론 → 이 세상 모든 존재는 제각기 고유 한 가치를 지니는 평등한 존재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