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4. 전통적 자연관과 자연 친화
(3) 인간과 자연의 조화(교과서 257~261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조상들의 자연친화적 삶]

      (1) 자연 친화와 생명 존중의 전통

    • 이규보의 만물 평등론 : 생명현상의 근원적 동일성 강조(슬견설)
    • 불교의 생명존중사상 : 살아 있는 존재에 대한 비폭력을 강조(숫타니파타)

      (2) 동양적 자연관의 강조점

    • ‘인간중심주의’가 아니라 ‘생태평등주의’
    • ‘정복의 문화’가 아니라 ‘공생의 문화’
    •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에 대한 평등을 전제로 하는 비폭력 강조

[동양적 자연관의 한계와 극복 방향]

      (1) 동양적 자연관의 진리성

    • 인간을 포함한 자연을 하나의 살아 있는 생명체로 봄
    • 가이아(Gaia) 이론-서구적 자연관에 대한 반성에서 나온 이론, 지구 전체를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로 봄(동양적 자연관과 크게 다르지 않음)

      (2) 동양적 자연관의 한계와 극복 방향

    • 한계 - 자연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운동과 변화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점    예) 기(氣)와 경락(經絡)
    • 세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겸허하게 상대방의 주장에 귀를 기울  여야 함.
    • 서구의 이분법적, 기계론적, 환원론적, 인간 중심적 자연관을 경계하고 이를 극복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삶의 실현방안]

      (1) 관점의 전환

    • 인간 중심주의 → 만물 평등주의
    • 이분법적 구도 → 전일적 공생주의
    • 기계론적 사유 → 생태학적 사유
    • 경제적 이익 관점 → 생태계 보존 관점

      (2) 행위의 전환

    • 내면적 차원 : 생태계의 보전에 우선적 가치를 두는 방향으로 삶을 전환
    • 사회구조적 차원 : 효율성 중심의 ‘경제 지상주의’ → 인간과 자연의 공생 강조, ‘생태적 경제학’으로 변모(생태윤리를 염두에 둔 ‘공생의 경제학’)

      (3) 관점과 행위의 전환을 위한 노력

    • 우리 내면의 욕망에 대한 성찰
    • 제도 개선 모색
    • 개인의 작은 실천과 경제 구조의 친환경적 변모 → 바람직한 자연으로 변화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