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1. 국가생활과 국민의 도리
⑵ 충성과 호국정신(교과서 209~214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충성의 참된 의미]

    (1) 충(忠)

    • 어의 : 중(中)과 심(心)의 합성어 => 거짓없이 진실하며, 정성을 다함
    • 주자 : “자신이 정성을 다함”
    • 유학 : 중요한 도덕규범 중의 하나

    (2) 법가사상 이후의 변화

    • 충의(忠義) : 잔신을 돌보지 않고 국가나 군주를 위하여 자기의 능력과 정성을 다함.
    • 『충경』: 충의 대상 - 자신에서 시작하여 가족은 중간 국가가 가장 크고 마지막 대상
      • 충의 도리 - 위정자의 충, 공직자의 충, 백성의 충
      • 효도와 충성은 밀접한 관계

[충 사상의 확대와 호국 정신]

    (1) 국가 존립과 충 : 가족공동체로서, 운명공동체로서의 국가의식 속에서 국가라는 대상과 나의 일체화를 통한 충의 실현 필요

[조상들의 호국 정신과 계승 방안]

    (1) 우리 조상들의 충 : 신라 화랑도의 세속오계, 삼국사기

    (2) 충효의 연관 관계

    • 길재 : “충신은 반드시 효자가 나오는 가문에서 나오는 것이니 거기에서 구하라.”
    • 조광조 : “임금 사랑하기를 부모사랑 하듯 하였고, 나라 근심하기를 집안 근심하듯 하였네.”

    (3) 천재지변, 외적의 침입시 국가를 지켜 내려는 호국정신으로 나타남

    • 이순신, 조헌, 유정, 의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