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1. 국가생활과 국민의 도리
⑶ 봉공과 청백리 정신 (교과서 215~219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조상들의 奉公과 淸白吏 정신]

    (1) ‘사(私)’보다 ‘공(公)’을 우선시 함 : 멸사봉공(滅私奉公), 선공후사(先公後私), 살신성인(殺身成仁), 출처(出處)를 명확히 함 => 여민동락(如民同樂)

    (2) ‘청백리(淸白吏)’ : 마음이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황희, 맹사성, 태국의 잠롱 등)

[봉공과 청백리 정신의 본질]

 

맹사성 고택

    (1) 청백리 존중의 시작 : 고대 중국의 한문제(漢文帝), 우리나라는 고려이전 불분명

    (2) 청백리의 진정한 의미와 예

    • 황희, 맹사성, 허종
    • 정약용의 『목민심서』, 맹자 : “일정한 생업은 없으나 떳떳한 마음을 가질 수 있는 자는 오직 선비만이 가능한 것이다.[無恒産而有恒心者, 惟士爲能]”

[봉공과 청백리 정신의 계승 방안]

    (1) 공동선과 개인의 존엄성 함께 추구 : 집단주의를 경계하면서 공익 우선의 원리 중시

    * 읽기 보충 : 청백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