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1.
국가생활과 국민의 도리
[조상들의 奉公과 淸白吏 정신] (1) ‘사(私)’보다 ‘공(公)’을 우선시 함 : 멸사봉공(滅私奉公), 선공후사(先公後私), 살신성인(殺身成仁), 출처(出處)를 명확히 함 => 여민동락(如民同樂) (2) ‘청백리(淸白吏)’ : 마음이 청렴하고 결백한 관리(황희, 맹사성, 태국의 잠롱 등) [봉공과 청백리 정신의 본질]
(1) 청백리 존중의 시작 : 고대 중국의 한문제(漢文帝), 우리나라는 고려이전 불분명 (2) 청백리의 진정한 의미와 예 [봉공과 청백리 정신의 계승 방안] (1) 공동선과 개인의 존엄성 함께 추구 : 집단주의를 경계하면서 공익 우선의 원리 중시 * 읽기 보충 : 청백리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