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4. 관혼상제(冠婚喪祭)
참고 홈페이지>온고지신 관혼상제 http://www.anil.hs.kr/ethics/main.html [관례의 의미와 기본 절차]
1. 관례(冠禮)과
계례( (1) 자의적 의미: 갓을 쓰는 예식 (2) 성인이 된 남자에게 상투를 틀고 두건이나 갓을 쓰게 하던 전통 사회의 성인식 (3) 관례를 올리는 시기: 20세 (4) 계례 : 여자의 성인식 - 갓 대신 비녀를 꽂는 계례를 올림 (5) 계례의 시기: 15세 혹은 시집 가기 전 2. 관례의 의의 (1) 아동기와 성인기를 구분하는 통과 의례 (2) 개인: 성인으로서 자신의 입장 자각 (3) 사회: 성인이 되었음을 공식 인정→합당한 예우를 함 3. 관례의 절차 : 3단계의 '삼가(三加)'와 '자관자례'가 핵심 (1) 택일(擇日) : 관례를 행할 길일을 선택함. 보통 정월 중에서 택일함. (2)
사당고사와 계빈 : 조상 사당에 알리고 관례를 주관하실 빈(賓,
존경받는 마을 존장) 초청 (4) 시가례(始加禮) : 상투를 틀고 치포관(緇布冠)을 쓰며 사규삼(四揆衫) 혹은 난삼(衫)을 입는 첫단계, '초가례'라고도 함. (5) 재가례(再加禮) : 초립(草笠) 혹은 유건을 쓰고 조삼과 혁대를 두르고 혜(鞋,신발)를 신는 둘째 단계 (6) 삼가례(三加禮) : 복두(혹은 갓)를 쓰고 난삼 또는 도포를 입고 신는 셋째 단계, 이상의 관례의 가장 중요한 세단계 절차로 '삼가(三加)'라도 함. (7) 초례(醮禮) : 빈(賓)이 관자에게 내린 술을 마심 (8) 자관자례(刺冠者禮) : 빈이 관자에게 자(字)를 지어주는 줌 (9) 고유식(告由式) : 관자가 사당에 이 사실을 알린 후 친지들에게 절을 하면 모든 절차가 끝남.
4. 관례 이후의 신상 변화 (1) 복장: 아동기의 댕기를 풀고 상투를 틀며 의관을 정제함 (2) 언행: 성인으로서 품위 있고 책임감 있는 언행 요구 (3) 이름 대신 자(字)를 사용: 관례를 올린 사람에 대해 부모나 스승, 혹은 임금을 제외한 사람들은 이름 대신 자를 부름 (아랫사람은 윗사람의 자를 함부로 부를 수 없음) [혼인의 전통적 의미와 기본 절차] 1. 혼인(婚姻)의 의미 * 혼(婚)은 신랑이
신부(女)집에 가서 날저문(昏) 저녁에 '장가든다'는 뜻이고,
(1) 성장한 남녀가 부모와 사회의 인정을 받아 장가 들고 시집 가서 가정을 꾸리는 것 (2) 일생 중 가장 뚜렷한 인생의 전환점이 됨(人倫之大事) (3) 생사의 문제와 달리 혼인은 사람이 선택하는 일 (4) 서로 다른 남녀가 상대를 정해 가정을 꾸리고 자식을 낳아 기르므로 여러 절차를 거쳐 신중하게 이루어짐 2. 전통 사회에서의 혼인의 시기 (1) 남자: 30세 전후 (2) 여자: 20세 전후 (3) 조혼(早婚) : 성인이 되기 이전의 어린 나이에 일찍 결혼하려는 풍습 ○ 조혼의 원인: 고려 시대에는 원나라에 보내는 공녀 문제로, 조선시대에는 왕실의 간택 문제 등으로 일찍 혼인하는 풍습이 생겨남 3. 혼례의 기본 절차: 대개 6단계로 이루어짐 (1) 의혼(議婚) : 중매인을 통해 혼인을 논의하는 것으로, 남자 집에서 청혼을 하고 여자측에서 허락을 함 (2) 납채(納采) : 남자측에서 여자측에 혼인이 결정되었음을 알리는 절차로 신랑의 사주(四柱,생년,월,일,시)를 적어 보냄 (3) 납기(納期) : 여자 집에서 남자 집에 혼인 날짜를 정하여 알림 (4) 납폐(納幣) : 남자 측에서 여자 측에 예물(비단)을 보내고 받음(오늘날의 '함들이' 행사) (5) 대례(大禮) : 남자가 몸소 신부의 집을 방문하여 혼인을 치르는 예식(혼례-장가듦) (6) 우귀(于歸) : 혼례가 끝난 후 신랑이 신부를 안내하여 자기 집으로 돌아옴(시집감, 오늘날의 '신행(新行)'이라한다.) (대례 후 수개월 또는 첫아이를 낳을 때까지 친정에 있기도 하지만 보통 3일만에 우귀[삼일신행]를 한다. 시댁에 다다르면 신랑이 직접 가마문을 열어 새색시를 데리고 들어간다. 우귀를 하고 신랑집에서 첫날밤을 보내고 이튿날 아침 일찍 시부모님께 큰 절을 올린다. 이를 현구고례(見舅姑禮)라 한다. 신부는 이 예를 올리기 위해 시부모에게 폐백(弊帛)을 드린다. )
[관례와 혼례의 현대적 계승 방향] 1. 관례의 현대적 계승 방향 (1) 현대의 성인식: 관례의 교육적 의미를 되새기려는 노력 요청 (2) 전통 사회에서의 관례 혹은 계례: 성인으로서 인생의 전기를 맞는 청소년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강한 도덕 의식과 책임 의식을 자각하게 하려는 교육적 의미 강함 2. 전통적 혼례의 현대적 계승 방향
○ 혼인에 따른 가족적, 사회적 역할과 책임 의식을 계승하고 일깨우는 자세 필요
순서> 결혼식-폐백-피로연-신혼여행-처가-신행(시댁으로 들아감) 순서> 결혼식-폐백-피로연-처가(첫날밤)-신혼여행-신행(시댁으로 들어감) [우귀한 이튿날 이른 아침 새색시는 시부모님께 폐백을 드림 큰절을 올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