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3. 친구 사귐의 기본 정신과 예절
(3) 이성 친구와 윤리 문제 (교과서 180~184)

"친구를 얻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완전한 친구가 되는 것이다." - 에머슨(Emerson, R.W.)

[이성 교제와 순결]

1. 청소년기의 이성에 대한 관심

     (1) 이성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강한 시기

     (2) 이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부족

     (3) 바람직한 이성 교제의 방향 미설정

     (4) 이성 교제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확립이 요청됨

2. 전통 사회에서의 남녀 문제

     (1) 남녀 문제를 모든 인간사의 기초이자 윤리 문제의 출발로 봄→남녀를 엄격하게 구분

     (2) 남녀 관계는 곧 혼인한 부부의 관계로 인식→결혼 이전의 남녀 관계는 생각할 수 없었음

     (3) 남녀 사이의 대면이나 대화는 엄격한 제약을 받음

     (4) 집안 내의 부부나 오누이 사이에조차 남녀를 엄격히 구분

3. 전통 사회에서 남녀를 엄격히 구분한 이유

     (1) 사회적 측면 : 성의 문란이나 성 도덕의 타락을 방지하고자 함

     (2) 인간적 측면

      ○ 남녀가 서로를 인격체로서 존중하도록 함

      ○ 이성으로서의 관심에 치우쳐 상대를 성적 대상으로 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생명과 직결되는 성의 신성성(神聖性)을 보호

      ○ 성의 쾌락에 탐닉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함

4. 전통 사회에서의 순결 의식

     (1) 순결을 생명처럼 소중하게 인식

     (2) 순결의 보호 : 생명의 신성함과 혈통의 순수성을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

     (3) 부부상경(夫婦相敬)의 정신 : 서로를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여 절도를 잃는 일이 없도록 함

     (4) 혼인 이후 순결 의식은 정조 관념으로 발전

[청소년기의 이성 교제와 바람직한 윤리적 자세]

1. 청소년기 이성 교제의 특성

     (1) 긍정적 측면 : 삶의 협력자로서 이성의 제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 부여

     (2) 부정적 측면 : 성적 문란과 도덕적 혼란을 초래하는 잘못된 결과 초래의 가능성

      ○ 이성 교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필요성 제기

2. 전통 사회의 남녀 관계

     (1) 낮은 인구 밀도, 생활 공간의 제한 등으로 남녀 간의 접촉 기회 제한

     (2) 남녀 간의 교제 매우 희박

3. 현대 사회의 남녀 관계

     (1) 남녀 간의 접촉 기회 빈번

     (2) 남녀 간 대면과 교제가 자연스로운 현상이 됨

      ○ 이유

         ․남녀 평등 의식의 확대

         ․여성의 교육 및 사회 참여 일반화

         ․산업화, 공업화로 인한 삶의 방식의 변화

         ․과거와 같은 이성 교제의 통제 불가

4. 현대 사회의 혼인 및 순결 의식의 변화

     (1) 전통 사회에서의 혼인관

      ○ 혼인의 사회적 의미 중시

      ○ 혼인에 따른 책임과 의무 중시

     (2) 현대 사회에서의 혼인관

      ○ 혼인에 따른 가족적․사회적 책임 의식 약화

      ○ 사랑, 행복, 욕구를 추구하는 개인의 권리 문제로 인식

      ○ 혼인과 파혼이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쉽게 결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