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2. 경제 생활과 대동 사회
⑶ 경제 윤리와 현대적 실현 방안 (교과서 228~233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우리 사회의 경제 현실]

     (1) 우리사회의 ‘압축적인 근대화’ 부작용 : 이기주의, 독점과 투기, 불로 소득과 과소비, 부패, 정경 유착, 정실주의, 연고주의, 환경 오염

     (2) 우리사회의 병폐 : 가치전도 현상, 물질만능주의, 천민자본주의 풍조, 빈익빈 부익부 현상, 헌신․절제․참된 의미의 자조정신의 퇴색

     (3) 우리 사회의 주변 여건(세계화)

    • WTO체제 속의 세계경제의 국경 없는 자본주의화, 무한 경제 경쟁
    • 신자유주의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축소, 시장경제원리의 강화

[조상들의 경제 윤리]

     (1) 신자유주의 입장 : 국가와 시장을 배타적 무관심관계로 설정, 경제적 합리성과 시장 논리 중시

     (2) 전통적(유학)인 입장 : 국가는 다양한 경제․사회적 삶의 상호보완적 조정자, 고구려의 진대법, 고려의 의창과 상평창, 정약용의 여전론


[대동 정신과 경제 윤리의 현대화]

     (1) 대동사회의 특징 : 만인의 신분적 평등, 재화의 공평한 분배, 인륜의 구현

     (2) 국가의 역할 : 환경, 노동 및 여성등의 사회적 약자 보호, 사회통합, 경제민주화(부의편중 해소, 공정한 거래 질서 확립), 사회복지제도의 확충, 민생에 기초한 조세개혁, 노사협조체제 구축, 산업 민주화 실현

     (3) 국민의 자세 : 근검절약, 합리적 소비 생활과 저축에 의한 자립경제체제 구축

     (4) 대동사회의 구현 : 자본주의의 장점 + 인간다운 삶의 복지국가의 이상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