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2. 경제 생활과 대동 사회
⑵ 조상들의 경제 생활과 절약 정신 (교과서 225~227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조상들의 경제관]

     (1) 의주이종(義主利從)의 경제관 : ‘농업은 천하의 근본’(이익보다 도덕적 의리를 중시하는 경제생활)

     (2) 사․농․공․상의 위계적 서열 중시(공․상의 존재 인정)

     (3) 억말숭본(抑末崇本, 상공업을 억제하고 농업을 장려하는 성리학적 경제관), 북학파들의 경제관

[조상들의 절약 정신]

     (1) 절약 : 절용(節用)+검약(儉約)의 ‘아껴씀’, 사물을 귀중히 여기고, 함부로 쓰지 않고, 손실을 당하지 않음.

     (2) 불교와 유학의 윤리의식 결합 : 청렴, 청백, 근면과 성실

     (3) 황희와 이황의 삶

[절약 정신과 자본주의]

     (1) 자본주의 원리 : 경제행위(생산과 소비)의 합리화 → 효율적 이익 달성 → 자본축적 → 경제사회발전

     (2) 베버 : 청교도적 금욕주의에 근거한 자본주의 정신, 근검절약

     (3) 올바른 자본주의 정신 : 절약, 저축을 통한 국민경제의 발전과 국부의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