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3. 친구 사귐의 기본 정신과 예절
(1) 인생과 친구 관계 (교과서 170~174)

"우정은 기쁨은 두 배로 하고 슬픔은 반감시킨다." - 실러

[다양한 만남과 친구 사귐]

1. 전통 사회에서의 중요 인간 관계 분류

     (1) 삼강(三綱) : 국가와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적 인간 관계의 틀을 말함

      ○ 군신 : 사회 ․ 정치적 관계 - 군위신강
      ○ 부자 : 가족적 관계 - 부위자강
      ○ 부부 : 남녀 관계 - 부위부강

     (2) 오륜(五倫) : 인간 누구나가 일생 동안 맺는 기본적 인간 관계의 범주와 덕목을 나타낸 것

    삼강오륜

    삼강(三綱)

    -동중서

    • 강(鋼): 벼리 - 그물을 지탱하며 당기는 동앗줄
    • 군위신강 -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며
      부위자강 - 어버이는 자식의 벼리가가 되며
      부위부강 - 지아비(남편)는 지어미(아내)의 벼리가 된다.

    오륜(五倫)

    -맹자

    • 오상(五常)·오전(五典)이라고도 함.
    •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자 사이에 친애가 있어야 하고,
      군신유의(君臣有義) - 군신 사이에 의리가 있어야 하며,
      부부유별(夫婦有別) - 부부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하고,
      장유유서(長幼有序) - 어른과 어린 사람 사이에 차서가 있어야 하며,
      붕우유신(朋友有信) - 붕우 사이에 신의가 있어야 한다.

2. 인간 관계 영역과 특성

     (1) 자연적 ․ 혈연 관계

       ○ 부모, 형제, 친지 등의 관계

       ○ 정(情)을 중심으로 한 사랑이 중심이 됨, 이해 타산을 잘 따지지 않음

       ○ 인(仁, 사랑)이 중요시 됨

     (2) 사회적 관계

       ○ 이웃, 교우, 직장에서의 상하 동료 관계 등 모든 정치적 ․ 사회적 관계

       ○ 의(義, 정의) : 이해 타산을 따짐,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 원칙과 옳고 그름의 문제[義]가 중심이 됨

3. 친구 관계의 특성

     (1) 관계의 형태 : 사회적 관계

     (2) 관계의 내용과 성격

       ○ 피를 나눈 가족보다 더 깊은 사랑을 교류

       ○ 부모 형제 사이를 능가하는 마음의 개방과 솔직한 대화 가능

       ○ 사회 관계나, 이해 타산을 초월함

       ○ 가족 이상의 정신적 교감과 정을 교류

      [조상들의 친구 사귐]

1. 화랑도의 친구 사귐

     (1) 국가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신라의 청소년 집단

     (2) 또래 집단의 공동 생활을 통한 인격 도야

     (3) 친구와의 사귐을 통한 공동의 이상 추구(국가와 사회를 위한 헌신)

     (4) 친구 사귐의 덕목 : 믿음

2. 서거정과 김시습의 친구 사귐의 교훈

     (1) 신분을 초월한 친구 관계의 유지

     (2) 서거정 : 거지 행색을 하며 절개를 지키고자 한 김시습의 입장을 이해

     (3) 김시습 : 비록 뜻과 길이 달랐지만, 친구인 서거정을 비난하거나 욕하지 않음

[친구의 여러 부류]

1. 친구 관계가 삶에 미치는 영향

     (1) 친구의 부류 : 유익한 친구, 해가 되는 친구

     (2) 사귀는 친구의 부류가 자기 인생의 방향을 달라지게 할 수 있음

     (3) 좋은 친구를 가려서 사귀는 것이 중요함

 2. 관포지교 내용 읽기

     ※ 교훈 : 좋은 친구란 늘 친구의 어려운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친구

     

    보충>

    관포지교 - 만화보기 (고우영의 십팔사략중에서)

    교과서에 실린 이야기(p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