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3. 친구 사귐의 기본 정신과 예절
[다양한 만남과 친구 사귐] 1. 전통 사회에서의 중요 인간 관계 분류 (1) 삼강(三綱) : 국가와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적 인간 관계의 틀을 말함 ○ 군신 : 사회 ․ 정치적 관계
- 군위신강
(2) 오륜(五倫) : 인간 누구나가 일생 동안 맺는 기본적 인간 관계의 범주와 덕목을 나타낸 것
2. 인간 관계 영역과 특성 (1) 자연적 ․ 혈연 관계 ○ 부모, 형제, 친지 등의 관계 ○ 정(情)을 중심으로 한 사랑이 중심이 됨, 이해 타산을 잘 따지지 않음 ○ 인(仁, 사랑)이 중요시 됨 (2) 사회적 관계 ○ 이웃, 교우, 직장에서의 상하 동료 관계 등 모든 정치적 ․ 사회적 관계 ○ 의(義,
정의) : 이해 타산을 따짐,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 원칙과 옳고 그름의 문제[義]가 중심이 됨 3. 친구 관계의 특성 (1) 관계의 형태 : 사회적 관계 (2) 관계의 내용과 성격 ○ 피를 나눈 가족보다 더 깊은 사랑을 교류 ○ 부모 형제 사이를 능가하는 마음의 개방과 솔직한 대화 가능 ○ 사회 관계나, 이해 타산을 초월함 ○ 가족 이상의 정신적 교감과 정을 교류 [조상들의 친구 사귐] 1. 화랑도의 친구 사귐 (1) 국가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신라의 청소년 집단 (2) 또래 집단의 공동 생활을 통한 인격 도야 (3) 친구와의 사귐을 통한 공동의 이상 추구(국가와 사회를 위한 헌신) (4) 친구 사귐의 덕목 : 믿음 2. 서거정과 김시습의 친구 사귐의 교훈 (1) 신분을 초월한 친구 관계의 유지 (2) 서거정 : 거지 행색을 하며 절개를 지키고자 한 김시습의 입장을 이해 (3) 김시습 : 비록 뜻과 길이 달랐지만, 친구인 서거정을 비난하거나 욕하지 않음 [친구의 여러 부류] 1. 친구 관계가 삶에 미치는 영향 (1) 친구의 부류 : 유익한 친구, 해가 되는 친구 (2) 사귀는 친구의 부류가 자기 인생의 방향을 달라지게 할 수 있음 (3) 좋은 친구를 가려서 사귀는 것이 중요함 2. 관포지교 내용 읽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