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2. 이웃 관계와 상부상조
[바람직한 이웃 관계] 1. 전통적인 친소 의식의 극복 (1) 우리는 전통적으로 ‘우리’와 ‘남’을 엄격히 구분함 ○ ‘우리’에게 지나치게 관대하고, ‘남’에게 무관심하거나 가혹함 ○ 매일 얼굴을 보아도 ‘남’이라 생각하면 인사도 안 함 (2) 동족 부락이 형성되면서 배타적인 친소 의식이 더욱 심화되어 향전을 벌이기도 함 (3) 현대의 지구촌 시대에는 개방적인 자세가 요청됨 ○ 인종, 종교, 문화를 초월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이웃이 될 수 있음 ○ 배타적인 친소 의식을 버리고 이웃의 범위를 확장하여 좀 더 큰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이 요구됨 2. 바람직한 이웃 관계의 요건 (1) 이웃에 대한 봉사 정신 ○ 대가를 바라지 않고 다른 사람의 행복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하는 자세가 요구됨 ○ 봉사를 통한 보감과 기쁨의 체험이 중요함 (2) 봉사 정신 실천의 장 마련 [이웃 관계의 변화] 1. 전통 사회에서의 손님 접대 (1) 여행자에게 음식과 잠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당연시함 (2) 음식과 잠자리 손님 접대는 최소한의 도리로 여김 (3) 손님 접대를 제사를 받드는 일 다음으로 중히 여김-봉제사
접빈객(奉祭祀 接賓客) 2. 오늘날의 이웃 관계 (1) 1960년대까지만 해도 전통적인 손님 접대 풍습이 남아 있어 무전 여행이 가능했음 (2) 오늘날은 전통적인 손님 접대 풍습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음 (3) 산업화, 도시화로 익명 사회의 특징이 드러남 (4) 이웃에 살아도 접촉과 교류 기회가 적음 [이웃 사랑 전통의 계승 방안] 1. 이웃 간 물리적 ‘담장’의 제거 방안 (1) 폐쇄된 가옥 구조 등 주거 환경의 개선 (2) 공동 사용 공간의 확보 →도서관, 놀이 공원, 공동 텃밭, 약수터, 쌈지 공원 등 (3) 마을 또는 지역 축제의 활성화 →공동체 의식과 애향심 함양 (4) 주차난 등 다툼의 소지 제거 2. 이웃에 대한 의식의 전환 (1) 조상들은 이웃과 함께 하는 삶을 살았음 (2) 오늘날의 불우 이웃 돕기 행사는 일회성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음 (3) '이웃과 더불어 사는 삶 속에서 진정한 행복이 가능하다'는 의식이 선행되어야 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