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1. 친척윤리와 노인공경
[친척의 의미] 1. 인간의 친밀한 본능 (1) 친밀함의 의의 ○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 언어의 사용도 친밀하고자 하는 표현임 ○ 원만한 인간 관계를 형성하게 함 ○ 사회적 존재로서의 삶을 가능하게 함 (2) 친밀함의 대상 : 혈연으로 묶여진 친척과 혈연과 무관한 친지, 친구, 이웃
2. 친척의 의의 (1) 친척의 의미 : 혈연으로 맺어진 가까운 집단 (2) 친척 관계 형성의 계기 : 결혼과 출산 (3) 친척에 강한 친밀감을 느끼는 이유
3. 친척 관계의 확대 (1) 친척 관계의 기초 :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 오륜의 부자유친(父子有親) ○ 부자유친에 대한 동몽선습의 풀이 - 하늘이 정해 관계 - 부모 : 자식을 낳아서 기르고 사랑하고 가르침 - 자식 : 부모의 뜻을 잇고 효도하고 봉양함 (2) 친밀함의 사회적 확대 ○ 부모 자식 간의 친밀함은 친척, 친구, 친지로 확대됨 ○ 공자 : 인이란 인단다움이며, 어버이를 공경하는 것이 중요함 ○ 맹자 : 어버이 공경 →백성 사랑 →다른 모든 것 사랑 [친척의 유형] 1. 전통 사회에서 친척 공동체 (1) “나”보다 “우리”로서의 삶을 당연시함 (2) “나”의 삶은 친척 관계에 의존함 →유력한 가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함 (3) 혼인은 가족이나 가문의 요구를 따르는 것이 당연했음 2. 친척의 구분 (1) 친척의 종류 ○ 내척(內戚) : 친가, 즉 아버지 쪽의 친척 ○ 외척(外戚) : 외가, 즉 어머니 쪽의 친척 ○ 인척(姻戚) : 혼인에 의해 맺어진 친척 - 처가(妻家) : 아내 쪽의 친척, 자녀의 외가 - 시가(媤家) : 남편 쪽의 친척, 자녀의 친가 (2) 친척의 친소(親疎, 가깝고 먼) 관계 ○ 조선 중기 이후 남성 중심의 종통 중심주의 사회였음 ○ 친가를 중시하고 외가나 처가를 상대적으로 멀리함 ○ 상복을 입는 가까운 친척과 입지 않는 먼 친척으로 구분함 ○ 일반적으로 친척은 상복을 입는 가까운 친척을 말함 3. 상복과 친척 구분의 중요성 (1) 상복의 종류와 상복을 입는 기간에 따라 친소 관계를 구분함 ○ 상복 입는 기간을 다섯 단계로 나눔 : 3년, 1년, 9개월, 5개월, 3개월 ○ 직계인 경우 고조부를 기준으로 현손(玄孫, 손자의 손자)까지 상복을 입음 ○ 방계인 경우 삼종 형제(8촌, 고조부가 같은 형제)까지 상복을 입음 (2) 상복 입는 기준에 대하여 논란이 벌어지기도 함 : 대표적인 것이 조선 시대의 예송 논쟁임 [촌수와 칭호] 1. 친척 칭호의 다양성 참고> 뿌리넷-나의뿌리-친족간 호칭법 http://www.poori.net/myroot/hoching.htm (1) 문화 집단에 따라 다양함 : 어떤 문화 집단에서는 형과 동생, 백부와 숙부, 친삼촌과 외삼촌을 엄격히 구분하여 부르지만, 그렇지 않은 문화 집단도 있음 (2) 우리나라의 경우 ○ 엄격하고 복잡한 편임 - 형과 동생, 백부와 숙부는 물론, 외종, 고종, 이종도 구분 칭호함 - 누님의 남편 : 지역에 따라 자형(姉兄-손윗누이:자)과 매형(妹兄-손아랫누이:매)을 구분하기도 함 ○ 중국식과 고유한 방식이 함께 사용됨 - 중국식 : 종형제, 재종 형제, 삼종 형제 - 고유한 방식 : 4촌 형제, 6촌 형제, 8촌 형제 2. 촌수(寸數)의 계산 참고> 뿌리넷-나의뿌리-친족간
계촌법 http://www.poori.net/myroot/chonsoo.htm (1) "나"와 방계(旁系) 친척 간의 멀고 가까운 정도 나타내는 숫자 (2) “나”를 기준하여 친척의 혈연 관계를 잇는 매듭의 수 ○ 나와 부모 : 한 마디 1촌 ○ 나와 형제 : 나와 부모의 한 마디, 부모와 나의 형제 한 마디 더하여 2촌 ○ 나와 부모의 형제 : 나와 아버지 1촌, 아버지와 할아버지 1촌, 할아버지와 아버지형제 간의 1촌을 더하여 3촌 ○ 나와 부모 형제의 자녀 : 3촌에서 한 마디 더하여 4촌 ○ 직계 친척은 아버지, 할아버지(조부), 자녀, 손자 등으로 부름 3. 촌수나 칭호에 대한 바른 입장 (1) 복잡한 칭호 때문에 시비와 논란이 발생하기도 함 (2) 칭호는 하나의 약속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기만 하면 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