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2.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한국의 소중한 전통문화] 1. 전통 문화의 가치
(1) 전통 문화 보존의 예 (2) “우리는 전통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미, 케네디 대통령)
(1) 전통 문화에 대한 찬사
(3) 전통 정신 문화의 기준(목표) : 예절과 의리 [자연과 어울린 맑은 기상] 1. 우리나라의 자연적 특성 (1) 금수강산(錦繡江山) :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음 (2) 삶과 학문, 예술과 종교가 경건해지는 터전 (3) 학문과 사상의 산실
(1) 선비 : 세상과 조화를 이루는 도리를 닦고자 산을 찾음 (2) 산승과 도사 : 세속과 단절하여 탈속한 진리 찾음 (3) 산과 물의 조화를 표현 : “푸른 산은 말이 없으나 만고에 전해 온 책이요, 흐르는 물은 줄이 없으나 천년을 이어 온 거문고라” →경서와 거문고의 어울림 표현 [전통의 멋과 삶의 모습] 1. 자연과 삶의 조화 : 이황(李滉,
1501-1570) (1) 도산 서당 : 학문 연마와 제자 양성을 위해 설립 (2) 서재 : 완락재, 마루:암서헌, 연못:정우당, 샘:몽천, 경치조망대:천연대 등 각각 이름을 붙이고 자연 속에서 자신의 삶을 영위함 (3) 꽃과 나무를 사랑함 : 솔[松], 국화[菊], 매화[梅, 매형], 대[竹], 연꽃[蓮], '다섯 벗'을 절우(節友, 절개를 지킬 줄 아는 친구)라 이름함. (4) 특히, 매화를 사랑하여 '매형'(梅兄)이라 함.
2. 자연과 삶의 조화 : 정약용(丁若鏞,1762-1836) (1) 명례방(明禮坊, 현재 명동)에서 살 때 정원을 죽란서옥이라고 부름 (2) 친우들과 ‘죽란서사(竹欄詩社)’를 만들어 시연을 벌임 (3) 강진 유배 생활에서는 서민들의 삶을 시로 읊음
3. 옛 선비들의 삶의 멋 (1) 생활 공간과 소품에 이름을 붙여 의미를 찾음 (2) 기(記), 잠(箴), 명(銘)을 지어 의미를 되새김 (3)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정자를 짓고, 시를 지어 현판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