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1.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3) 청소년의 삶과 전통 윤리의 중요성
(교과서 22~25)

"지혜는 늙은이에게서, 힘은 젊은이에게서 빌려야 한다."- 우리나라 속담

[청소년들의 윤리적 특성]

1. 청소년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 수용

    (1) 청소년들의 문화적 특성

    •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
    • 안정감의 결여
    • 자율성과 개혁성이 강함

     

    (2) 서구 문화 수용에 있어 청소년들에게 드러나는 긍정적 특징

    • 맹목적 수용이 아니라 새 문화 창조를 지향함
    • 비판적 재인식을 통한 전통 문화의 창조적 계승
    • 외래 문화와 이질적 요소를 융합시키는 자유 정신을 지님
    • 격변하는 현실에서 문화 창조 주체로서의 역할 수행
    • 전통 윤리의 고식적 답습을 거부하고 새로운 규범 질서 탐색

      (참고) 문화적 특성에 따라 청소년(기)를 가리키는 말들 : W(worldcup)세대, X세대, 펌킨(punkin)족,M(mobile)세대...(직접  적어보세요.)


[전통윤리에 바탕을 둔 건전한 청소년들의 삶]

1. 청소년들에 대한 비판적 관점과 전통 가치

     (1) 기성 세대들의 청소년들에 대한 비판적 관점

    •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적임
    •  공동체 의식이 약함
    •  애국심과 민족애가 약함
    •  질서 의식이 부족함
    •  진지하지 못함

     (2) 재일 유학생 이수현의 희생 정신

    •  2001년 일본 도쿄의 신오쿠보 역에서 철로에 떨어진 사람을 구함
    •  한일 청소년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며 한일 우호 증진에 기여함
    •  전통적 가치를 소중히 여김 :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자세
    • 고 이수현씨의 생전모습과 부산시립공원내에 있는 이씨묘소. 일본인들이 놓고간 조화들이 가득하다. [사진:문화일보_기사스크랩]

2. 청소년들의 전통 윤리 재창조를 위한 노력

    (1) 전통 문화에 대한 경험을 통한 전통 가치 확인

    (2) 전통 윤리의 형식과 의미에 대한 재인식 필요


[청소년들의 정체성 확립과 전통윤리]

1.우리나라 현재 윤리의 상황

    (1) 전통 윤리의 지위와 역할 미정림

    (2) 서양 윤리의 생소함 존재

    (3) 두 윤리가 조화되어야 함


2. 전통 윤리의 정립을 위한 청소년들의 역할과 과제

    (1) 민족 의식의 각성과 함께 세계 지향적인 포용적 자세 필요

    • ‘우리’의 의미를 넓은 의미로 확대해야 함

     

    (2) 전통 윤리와 서양 윤리의 조화 모색

    • 열린 지성으로 현실적 적합성과 합리성을 찾아 전통 윤리와 서양 윤리 사이의 교류를 촉진시켜야 함

     

    (3) 전통 윤리의 창조적 계승

    • 전통 윤리의 관습이나 형식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설득력 있는 윤리의 창조적 계승의 자세 필요
       

    (4) 새로운 윤리 체계 재창조

    • 가부장적 가족 질서를 친애와 화합의 가족 질서로 재창조
    • 신분이나 성에 따른 차별에서 벗어나 평등과 조화를 중시하는 사회 질서 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