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조선 시대 성리학
                
                    (1) 삼강오륜
 
                    - 숭유 억불(崇儒抑佛) 정책
  
- 백성들의 윤리 생활 교육
 
                  
   | 
항목  | 
뜻  | 
윤리적 의의  | 
 
삼강 
(三綱)  | 
군위신강(君爲臣綱)  | 
임금은 신하의 벼리[모범, 닻줄]가 된다. 
                          | 
종적윤리  | 
국가 윤리  | 
 
부위자강(父爲子綱)  | 
어버이는 자식의 벼리가 된다. 
                          | 
                         종적윤리 
 | 
가정 윤리  | 
 
부위부강(夫爲婦綱)  |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된다.  | 
                         횡적윤리 
 | 
가정 윤리  | 
 
오륜 
(五倫)  | 
부자유친(父子有親) 
  | 
어버이와 자식간에는 친함이 있다. 
                          | 
종적 윤리  | 
가정 윤리  |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간에는 의리가 있다. 
  | 
종적 윤리  | 
국가 윤리
   | 
                 
                
부부유별(夫婦有別)  | 
지아비와 지어미간에는 구별이 있다. 
  | 
횡적 윤리  | 
가정 윤리
   | 
                 
                
장유유서(長幼有序)  | 
어른과 어린이간에는 차례가 있다. 
  | 
종적 윤리  | 
사회 윤리
   | 
                 
붕우유신(朋友有信)  | 
벗들간에는 믿음이 있다.  | 
횡적 윤리  | 
사회 윤리  | 
  
                
- 성리학의 학문적 의의 
- 본체론(本體論) - 이기(理氣)의 개념을 통해 우주와 자연, 인간의 생성과 구조, 궁극적 이치 
해명
 
 - 인성론(人性論) - 본체론에 근거로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도리를 밝히려 함
 
  
- 중국의 성리학이 본체론을 중시한 반면, 조선의 성리학은 사단 칠정론과 같은 인성론의 탐구가 
특징
 
  
 - 성리학의 인성론
                    
                        - 인간의 본연성 밝히고, 그 본연성에 근거하여 어떻게 삶을 영위할 것인가를 탐구
  
- 인간의 본연성 - 인간은 모두 선한 존재, 존엄한 존재, 평등한 존재
 
                         -  성(性)을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 구분
                        
 
                        -  본연지성 : 이, ‘지극히 착하고 순수하고 한결같음’   → 사단
                        
 
                        -  기질지성 : 기, ‘맑기도 하고 탁하기도 하며, 순수할 수도 있고 잡될 수도 있음’→칠정
                        
 
                        -  이와 기 :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의 관계
 
 
                     
                    
                        
                            
                                | 
                                     심화학습 -  <4단 7정론(四端七情論)> 
                        이황(退溪)과 기대승(高峯)간의 四七논변으로 조선 성리학의 인성론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됨. 
                                        
                                            - 사단(四端) - 이(理)에 해당, 이에서 발현 - 순수하고 선함(純善) 
:≪孟子≫에서 
 
  
                                        
                                            - 惻隱之心 仁之端也 (인-측은지심:남의 곤경을 측은히 여기는 마음)
  
                                            - 羞惡之心 義之端也 (의-수오지심: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 辭讓之心 禮之端也 (예-사양지심:남을 공경하고 사양하는 마음) 
  
                                            - 是非之心 智之端也 (지-시비지심: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마음)     
 
                                             
                                     
                                        
                                            - 칠정(七情) - 기(氣)에 해당, 기에서 발현 - 善하기도 惡하기도 함 
                                            : ≪예기≫에서
 
  
                                        
                                            - 희노애구애오욕 - 
                                            
 
                                            -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두려움(懼), 사랑(愛), 미움(惡), 욕심(慾)
 
                                             
                                        
                                    
                                 | 
                             
                         
                     
 
  
                  
- 주자의 이기론
 
-  이(理) - 우주 만물의 군원, '기'활동의 근거가 되는 것.
 
 -  기(氣) - 만물 구성의 재료, 사물을 낳는 도구
 
  
                     - 이황의 이기론 : 주리론
 
                    
                        - 이(理) - 원리적 개념, 절대적 선, 존귀한 것.
  
- 기(氣) - 현상적 개념, 선악 혼재, 비천한 것.
 
 - 기(氣)에 내재한 선의 요소는 경(敬)의 실천을 통해 이(理)의 
순선(純善)으로 수렴될 수 있음.
 
                      
                    - 이발이기수지 기발이이승지(理發而氣隨之 氣發而理乘之)
 
                    
                        - "이가 발하면 기가 이를 따르고, 기가 발하면 이가 기를 탄다.”
 
- 주리론 입장에서 4단을 중시하며 이와 기가 다같이 발동함.
 
  - 이발이기수지(理發而氣隨之) : 理의 작용, 氣의 따름 
  - 기발이이승지(氣發而理乘之) : 氣의 작용, 理가 탐. 
                      
- 경(敬)의 실천 - 엄숙, 차분한 자세로 항상 옳은 일에만 
몰두[주일무적(主一無適)] - 이황 성리학의 실천적 가치 개념의 
핵심.
    
            (참고: 이기 일원론) 
             
                
                    -  “기가 발하면 이가 기를 탄다”는 명제는 맞지만 “이가 발하면 기가 이를 따른다”는 주장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
                    
 
                 
                
                    - 이통기국(理通氣局)론 - 이(본체, 보편적인 것)는 통하고, 기(특성, 특수한 것)는 국한된다는 
이론.
 
                    
                        - 
 기국(氣局) : 모든 사물이 각기 다른 것은 '기'의 국한성 때문 
 
                         
                        -  이통(理通) : 서로 다른 특성 속에 본체로서의 '이'가 내재, 모든 
사물은 결국 같은 것임.
 
                     
                 
                
                    -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의 특성이 제각기 다른 것은 ‘기’의 국한성 때문임
  
- 이기지묘(理氣之妙) - 이와 기의 상호 의존 보완 관계 유지, 
조화됨을 강조
 
 - 기발이승일도설(氣發而乘一途說) - 스스로 활동, 작용하는 것은 
氣이며, 理가 그 위에 타는 것만옳다고 주장. - 
이기일이이원론(理氣一而二元論)
 
                  
- 이이의 사회 사상
 
                    
                        - 불교나 도교 등에 대해 조예가 깊고, 정치와 경제, 교육과 국방 등에 대한 전반적인 개혁을 도모하였으며, 실학 사상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주었음
 
 
                        - 다양한 사상 연구, 사회문제의 명철한 분석, 전반적 개혁 도모
  
-  사회 경장론(更張論) - 민주적 민본 정치 사상, 백성을 위한 개혁, 
언론 확충에 입각한 안민, 이민, 위민 사상, 성(誠)사상에 근거한 
무실적 경세론(무실적 경세론)
 
"百姓者 有邦之根本" -《율곡전서, 권5》, "自古爲之君, 必先正心 
以正朝廷"-《율곡전서, 권7》 
 -  실학 사상 형성에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