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국 시대
                
                    (1) 유교의 전래- 한자의 전래와 함께 고구려, 백제, 신라로 전래
                 
                
                    - 고대 국가의 기틀을 갖추는 시기 - 국가 이념적, 윤리적 기초 마련의 시기
  
    - 경천 사상(敬天思想)의 원시신앙 + 유,불,도교(仙)의 부분적 수용(4-7세기)
 
     - 유교 - 일상 생활(정치, 사회, 교육)을 위한 규범적, 문화적 기반 조성
 
     - 불교, 도교 - 백성들의 안심입명(安心立命)을 위한 종교 생활 및 예술 활동 
    영역의 확충
                    
(2) 유교의 정신
                    
                  
                
                    - ‘자기 자신을 수양하고 남을 편안하게 한다’는 수기 안인(修己安人)의 윤리
                    
 
                    - 수기(修己)의 첫걸음은 효(孝)
                    
 
                    - 안인(安人)의 실현 극치는 충(忠)
                    
 
                    
                 
            - 유불도 사상 전래 이전에 이미 유교․ 불교․ 도교 사상 내용이 포함되어 
            있던 우리의 사상
 
             - 풍류도(風流道) : 현묘지도(玄妙之道), 접화군생(接化群生)
 
             - 유, 불, 선(儒佛仙) 3교를 포함
 
            
                    
                        - 공자(孔子)의 가르침 :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함 
                        - 충효(忠孝)
 
             
                        - 노자(老子)의 가르침 : 모든 일을 순리에 따라 묵묵히 실행 
                        - 무위(無爲)
 
             
                        - 석가모니의 가르침   : 악한 행동을 아니하고 착한 행실만을 신봉 
                        - 선행(善行)
 
                     
                    
  
                
                    -  불교와 유교, 다른 종료를 함께 믿고 공부함
                    
 
                    -  유 ․ 불 ․ 도 사상을 일상 생활 속에 융해 시킴
  
                    (5) 기타
                 
    - 고구려 
                    
                        - 소수림왕 2년(372년) 율령 반포, 태학(太學) 설치 - 유교 경전에 의한 교육, 
    충효신의용(忠孝信義勇)
  
    - 태학 설립 의의 - 인재양성 
    차원과 국가 생활 규범과 백성들의 윤리적 교육 근간 마련
                    
  
 
      
                
                    -  백제
 
                    
    - 고유의 토속적 풍속과 민간 신앙에 유, 불, 도교 수용하여, 사회 통합이나 
    국가 이념으로 활용 
    
 - 「논어」와 같은 유교 경전에 능숙한 학자 배출
 
     - 아직기(阿直岐)와 
    왕인(王仁) - 천자문, 논어, 유교를 
    일본에 전파
                    
  
                 
    2. 고려 시대 
 
- 안향, 백이정 - 13C.末, 
                    성리학(정주학, 주자학, 신유학)을 원나라로부터 받아들임
 - 정몽주(鄭夢周, 1337-1392) - 우리나라 성리학의 전통을 도학(道學)으로 정립하고 실천함.
                    
 - 성리학(性理學)  - 유교 사상을 철학적으로 심화시킨 학문
                    
 
                    - 불교, 도교와 함께 상호 의존보완 관계를 유지하면서 교육 및 사회제도에 반영됨.
  
- 최승로(崔承老, 927-989)의 28개조 상소문 - 겸손함을 주로 하여 인재를 교육할 것을 제안함.
 
 - 국자감(國子監)과 12사학(私學) - 유교 경전 교육 (신라의 국학 - 유교 경전, 인재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