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회 사상의 의미와 필요성
            
                
                    (1) 사상의 의미 
                    -  정신 속에 일어나는 모든 활동(광의). 인식대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이성의 작용(협의)
 
                    (2) 사회 사상의 의미
                    - 사회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이성의 작용
                    
 
                    - 사회의 바람직한 모습에 관한 체계적인 생각이나 태도
                    
 
                    - 사회 사상의 목표는 인간의 사회적 삶에 대한 일관되고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임
                    
 
                    (3) 사회 사상에 관심을 갖는 이유
                    - 사회 현상을 설명․ 정당화 ․ 변화시키는 기준으로 작용함
                    
 
                    - 사회 제도, 관행 및 윤리를 통해 구현됨으로써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 인간의 현실 생활을 규제하며, 미래의 삶을 위한 좌표로 가능함
 
                     
            
                2. 사회 사상의 역할
            
                    (1) 사회 사상의 설명적 가치
                    - 사회적 삶을 총체적으로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
                    
 
                    - 사회적 삶의 구성 방식과 사회적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 설명
                    
 
                    (2) 사회 사상의 규범적 가치
                    - 현 사회를 정당화하거나 비판하는 규범적 기준 제시
                    
 
                    - 바람직한 사회에 대한 규범적 대안 제시
                    
 
                    (3) 사회 사상의 실천적 가치
                    - 사회가 택할 수 있는 선택의 범위를 명료히 함으로써 사회적 삶의 한계와 가능성 제시
                    
 
                    - 분쟁 해결의 규범적 기준 제시
                    
 
                    - 사회적 논쟁의 쟁점을 분명하게 제공해 줌으로써 합리적 논쟁을 가능하게 함
                    
 
                    - 사회의 통합성 확보와 건전한 사회의 창출․ 유지에 기여함
 
                     
                  
             
            3. 사회 사상과 자연 과학의 비교
	
   | 
	
자연과학  | 
	
사회사상  | 
 
	
탐구 대상  | 
	
자연계  | 
	
인간과 사회  | 
 
	
특징  | 
	
거의 변화가 없음  | 
	
끊임없이 변화함  | 
 
	
연구자의 태도  | 
	
자연계의 현상을 설명할 뿐 변화의 의도는 없음  | 
	
사회 자체의 설명에 만족하지 않고 변화 시키고자 함  | 
 
	
방법 / 시각  | 
	
일반적으로 합의에 도달  | 
	
같은 사회 현상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  | 
 
                 
                4. 한국 사회 사상의 특징
            
                    - 서구 지향적 근대화를 추구해 옴
                    
 
                    - 서구적인 제도와 문화를 모방하고 수용해 옴
                    
 
                    - 서구 사회 사상에 대한 이해는 한국 근대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전제조건이 됨
                    
 
                    - 전통적인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었음
                    
 
             
                5. 한국 사회 사상의 바람직한 방향
            
                     (1) 전통에 대한 긍정적 이해
                    -  동양 사상과 관련된 저작물에 대한 관심의 고조
                    
 
                    - 전통 식품이나 음료의 시장화 전략 성공
                    
 
                    - ‘신토불이’ 사상의 대두
                    
 
                     (2) ‘아시아적 가치’의 대두
                    - 유교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
                    
 
                    - 동아시아 유교권 국가의 눈부신 경제 발전의 원인을 유고 문화에서 찾음
                    
 
                    - 아시아적 가치는 자유주의의 취약점을 치유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
                    
 
                     (3) 사회 사상의 바람직한 방향 
             
                
                    -  한국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의 조화, 한국 사상과 동양 사상에 대한 이해와 창조적인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