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개인과 가족의
가치있는 삶 - 3. 부부간의 분별과 화합 [전통적인 남녀관과 분별정신] 1. 전통적 남녀관의 특징
(1) 전통적 남녀관은 음양 사상에 토대를 두고 있으므로 남녀의 덕성도 음양의 특성을 지님 (2) 전통 사회에서의 남녀의 역할 : 엄격히 구분 ※ 여논어: 여자의 덕목으로 화목과 유순을 바탕으로 집안에서 시부모를 모시고 남편을 뒷바라지하며 자녀를 가르치고 손님을 대접하는 것을 강조함 (3) 전통적인 부부간의 윤리적 덕목 ※ 부화부순(夫和婦順)
: 남편은 자기 몸을 공경히 하여 아내를 이끌고 아내도 자기의 몸을 공경히 하여 남편을 받들며 내외가 화합하여야 부모가 편안하고 즐거워함
(4) 부부가 각자의 덕목을 실천함으로써 조화를 이룰 수 있음 2. 전통적 남녀관의 문제점 (1) 남녀의 활동 무대를 집 안과 집 밖으로 구분하고 상대방의 역할을 넘보지 못하게 한 것은 성 차별을 아기 (2) 여성의 역할을 가사와 육아에 국한하고 사회 활동은 남성의 역할이라 간주 3. 바람직한 남녀관 (1) 남녀의 역할도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 (2) 성별에 따라 능력의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음 (3) 경쟁할 수 있는 기회가 공평하게 부여되어야 함 [현대사회와 남녀관의 변화양상] 1.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여성의 사회 활동 변화 (1) 현대 사회에서 남녀의 교육 기회 평등 (2) 고학력의 전문 여성, 경제적 능력이 우수한 여성 등장 (3)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확대 가족의 축소와 핵가족의 보편화로 개인의 자아 실현의 비중이 커짐 (4) 결혼하지 않는 남녀의 비중 증가
2. 여성의 사회 진출에 따른 가정에서의 남녀 역할 변화 (1)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 밖에서 자신의 세계를 가지려는 여성의 증가 (2) 가사 노동과 육아의 부부 분담 의식 확산 (3) 아내와 남편의 독립적이고 평등한 인간 관계 형성 (4) 가정과 사회에서 남녀 역할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여건에 따라 분담해야 한다는 방향으로서의 인식 변화 [건전한 남녀관의 형성] 1. 여성의 사회 진출 양상 (1) 전문직이라 하더라도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저조함 (2) 사회 생활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려는 여성들의 증가 (3) 과거와 비교해 볼 때 가정이나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 향상 2. 여성의 사회 진출에 따른 새로운 갈등
(1) 여성의 사회 진출을 놓고 화합을 이루지 못한 채 붕괴되는 가정의 등장 (2) 결혼을 사회 진출의 장애로 생각하고 독신을 고집하는 남녀의 존재 (3) 성(性) 도덕의 문란 3.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른 건전한 남녀관 (1) 현대의 남녀관이 남녀의 신체적 ․ 기질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모든 면에서 절대적 평등적 주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2) 남녀의 역할 차이를 인정하고 그 역할에 우열이 있다고 보지 않은 전통적 남녀관은 상호 보완의 의미를 강조함 (3) 남녀는 완전한 평등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할 동반자적 관계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