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3.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3)
전통 윤리의 인간관 (교과서
52~56)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자신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서 인(仁)을 소홀히
하지 않으며, 자기 몸을 희생해서라도 인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공자
|

|
[명륜당]
: 서울의 성균관이나 각
지방 향교에 부설되어 있는 강학당(講學堂). 성균관 유생들이 이곳에서 글을 배우고 익혔으며, 왕이 직접 유생들에게 강시(講試)한
곳이다.
|
[전통윤리의 인간 이해]
1. 유교의
인간관
보충>윤리와
사상-[공자의
사상 : 인과 군자]
(1) 인간의
도덕적 본성 : 하늘에 근거한 지순(至純)한 성품->인간 관계 속에서 완성
(2) 인간의
본성[사단,四端] : 인의예지(仁義禮智), 그 가운데 인(仁)을 가장
중시
- 인의 실천 : 인의 출발점은 효(孝)
- 인간 관계는 가정에서 시작
- 학문보다 인간됨을 강조
(4) 분별적인 사랑 - 묵자[묵가(墨家)]의 ‘겸애설’에 대한 맹자의 비판
- 겸애설(兼愛說)
: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묵자가 주장한 윤리설로 '만인을
차별없이 사랑하고 이롭게 하자는 학설임.
참고 :
삼강오륜 : 유학사상에는 '너'와 '나' 즉 '우리' 사이에 관계를
규정하고 있는 삼강 오륜이 있다.
|
항목 |
뜻 |
윤리적 의의 |
삼강
(三綱) |
군위신강(君爲臣綱) |
임금은 신하의 벼리[모범, 닻줄]가 된다.
|
종적윤리 |
국가 윤리 |
부위자강(父爲子綱) |
어버이는 자식의 벼리가 된다.
|
종적윤리
|
가정 윤리 |
부위부강(夫爲婦綱) |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된다. |
횡적윤리
|
가정 윤리 |
오륜
(五倫) |
부자유친(父子有親)
|
어버이와 자식간에는 친함이 있다.
|
종적 윤리 |
가정 윤리 |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간에는 의리가 있다.
|
종적 윤리 |
국가 윤리
|
부부유별(夫婦有別) |
지아비와 지어미간에는 구별이 있다.
|
횡적 윤리 |
가정 윤리
|
장유유서(長幼有序) |
어른과 어린이간에는 차례가 있다.
|
종적 윤리 |
사회 윤리
|
붕우유신(朋友有信) |
벗들간에는 믿음이 있다. |
횡적 윤리 |
사회 윤리 |
보충읽기자료
: 공자의
'인(仁)의 정신- 공자의 『논어』에서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 인간다움을 의미 : 仁者人也 (仁은 인간의 본성)
- 인의 실천 덕목(인간다움의 바탕)
孝悌也者 其爲仁之本與(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學而篇)
-'부모님을 섬기는 효와 형제간의 우애는 곧 인(仁)의 근본이
되느리라.' - 사람됨의 근본은 부모를 사랑하고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다.
- 樊遲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번지문인
자왈 애인, 문지 자왈 지인 / 안연편)
- '번지가 인(仁)을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오." 또, 지(知)를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사람을 바로 아는 것이라."고 하셨다.
- 唯仁者 能好人 能惡人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 이인편)
- '오직 어진 자만이 능히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 -
목적적, 조건적, 구별된 사랑(맹목적 무조건적 사랑이 아님)
- 主忠信하고, 克己復禮하라."
(주충신, 극기복례)
- '충실과 믿음을 주로하고,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라.' -
충(忠) - 모든 인간관계에서 성실과 신뢰를 위주로 사는 것
- 인의 단점 극복 : 克己復禮 爲仁 (극기복례 위인)
- '이기심을 버리고 예를 따르는 것이 곧 인(仁)이니라.'
- 편협한 혈연, 지연의 이기주의가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하여야 함.
-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 안연편)
-'자기가 바라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를 말라.' -
서(恕) -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 - 修己治人(수기치인)
-'자기를 닦고 남을 다스리다.' -
사람됨의 도리요 다른 사람을 다스리는 도리
- 己欲立而立人, 達而達人 (기욕입이입인,
달이달인)
-'자기가 서고자 하면 먼저 남을 세우고, 이루고자 하면 남을 먼저 이루도록 하라.'
- 推己及人 (추기급인) '자기를 미루어(받듦이) 남에게 이르게 하라.' -
자기를 미루어 남을 헤아리며 베푸는 마음
- 子曰, 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 (자왈,
지사인인 무구생이활인, 유살신이성인 / 위령공편)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뜻이 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인(仁)을 해치고서 생명을 구하는
일이 없으며, 자신을 죽임으로써 인(仁)을 이루도록 함이 있다"고 하셨다. -자기 희생적 사랑
- 기타《논어》에서의 仁
♠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 學而篇) - 공자 말씀하시길,
"(집에) 들어가서는 부모께 효를 다하고, 나와서는 우애를
다하라."
♠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 學而篇) - 공자 말씀하시길, "아름다운
말과 예쁜 모양새는 인이 드물다."
♠ 子曰 當仁不讓於師 (자왈 당인불양어사 / 衛靈公篇)
- 공자 말슴하시길, "인을 실천할 일에는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아니한다."
|
2. 불교의
인간관 [보충>윤리와
사상-석가모니의
사상과 대승불교사상]
(1) 사회적 관계보다 개인의 깨달음 강조
- 인간은 누구나 불성을 가지고 있음
- 인간을 매우 긍정적으로 봄
(2) 인간의 삶은 고통 : 3독(毒)-탐욕[탐貪], 성냄[진嗔], 어리석음[치痴]-을 지녔기 때문
(3) 인간의 마음 구조를 꿰뚫어 알 수 있게 해 주는 참선
- 호흡을 통하여 자기 마음을 관찰
-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실상을 알게 됨
[이상적인 인간상과 바람직한 사회]
1.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 : 보살
|
[보살]
: 보살이란 성불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보리살타(Bodhisattva)의 약칭이다. 보살은 위로는 부처를 통해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것 -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이 일이다. |
(1) 지혜와 자비의 덕목을 갖춘 ‘보살’
:
위로 깨달음을 구하고(上求菩提,
상구보리 - 지혜), 아래로는 중생을 가르쳐 자비를 구현함(下化衆生,
하화중생 - 자비)
(2) 지혜가 없는 자비는 맹목적인 사랑, 자비가 없는 지혜는 메마른 지식
(3)
보살은 육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을 실천해야
한다. :
심화읽기
: 육바라밀 - 뜻풀이와 벽화이야기
2. 유학의 이상적 인간상 : 군자
- 孔子 曰, 君子有九思하니,
視思明하며, 聽思聰하며, 色思溫하며, 貌思恭하며, 言思忠하며,
事思敬하며, 疑思問하며, 盆思難하며, 見得思義니라 - [論語, 季氏篇]
공자
왈, 군자유구사 시사명, 청사청, 색사온, 모사공, 언사충,
사사경, 의사문, 분사난, 견득사의 - [논어, 계씨편]
공자 말씀하시길 , "군자에게는 아홉가지 생각하는 바가 있나니,즉 볼 때는 분명히 판별 할
것을 생각하고, 들을 때는 확실히 깨달을 것을 생각하고, 얼굴빛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용모는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일 할 때는
신중하고 성실할 것을 생각하고, 의심나는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하고, 화(盆)가 날 때는 잘못되어 걱정을 부모에게 끼치지 않을까 생각하고, 이득을
보면 의로운가를 생각한다. - [논어, 계씨편]
|
(2) 특히 인(仁)의 정신 함양과 실천 강조 →점진적인 사랑
(3) 바람직한 사회인 ‘대동(大同) 세계’구현 →정암 조광조의 도학(道學)정치 실현
의지
[읽기자료
: 정암 조광조와 도학정치]
3. 유학 사상에서의 교육의 중요성
(1) 군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강조
(2) 예절부터 시작하는 인성 교육
(3) 참된 존재인 인간을 만들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
(4) 교육의 기능 강조
- 교육자는 단순한 지식 전달자가 아님
- 학교는 ‘인륜을 밝히는 집(명륜당
明倫堂)’이어야 함
(5) 유학을 사회의 주이념으로 한 동북 아시아 국가의 품위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