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3.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전통윤리의 원시 신앙적 기초] 1. 독특한 문화와 윤리적 삶의 뿌리
(1)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 : 오늘날 윤리적 전통을 확인, 발견하는 근거
2. 원시 신앙
(1) 원시 신앙의 형태
- 하늘을 경외[경천]하며 하늘을 닮아 사람들과 서로 사랑[애인]하면서 도덕적으로 사는 것 - 종교적 차원[경천]에서 윤리적 차원[애인]의 의미로 전환 - 우리 민족의 윤리적 삶의 기반 형성 - 천지 만물에 흐르는 기운과 하나되어, 그들의 도움으로 인간의 최고 행복을 실현 - 무속의 본래 목표 : 인간과 자연의 합일 - 현대 무속의 본질 왜곡현상 : 개인적인 복과 물질적 이득만 추구(祈福,기복신앙) -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통해 심화되어 다듬어짐 - 한민족의 윤리 의식을 싹틔우는 정신적 씨앗
(1) 사상적 의의(2) 윤리적 의의
4. 우리의 옛 문헌과 중국 문헌
[유학, 불교, 도가적 전통] 1. 유, 불, 도의 영향
(1) 불교와 유학 : 왕실 및 양반층에서 수용 (2) 도가 : 민중들의 삶에 기반
2. 유학(儒學)의 위치
(1) 지배 이념 : 조선 시대의 국가 이념
3. 불교(佛敎)의 위치
(1) '참된 나'-주인공, 진면목-를 찾을 것을 강조 (2) 생노병사[4고,四苦]에서 벗어나 대자유[해탈,解脫]를 얻는 것이 목적 (3) 인간의 내면적인 깨달음을 강조 (4) 우리 민족의 윤리관 형성에 영향 : 모순과 대립을 넘어서는 화해와 조화의 정신 (5) 우리나라 문화재 중에서 70~80%이상이 불교유물
4. 도가(道家)의 위치 (1) 정신 세계에 영향을 줌 (2) 삶의 방향 설정 (3) 민중 도가의 윤리 의식(권선서 勸善書)이 우리나라 도가의 중심을 이룸 [전통사상의 새로운 해석] 1. 전통 윤리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동학, 증산교, 원불교가 대표적 사상 공통점 : 유, 불, 도 전통 사상을 이어받아 새로운 해석을 내놓음 (2) 특징 및 차이점
2. 그리스도교 사상의 전래 (1) 200여 년 전의 가톨릭교회와 100여년 전의 개신교회 전래 (2) 새로운 세계관 형성의 계기 (2) 사랑과 정의의 실천 (3)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 : 각종 사회 복지 시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