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3.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1) 전통 윤리의 사상적 배경
(교과서 42~46)

"풍속이 아름답고 두터워서 사람들이 길을 양보하고, 재물은 서로 나누었으며, 남자와 여자는 각기 직분에 충실하니 이 나라야 말로 동쪽에 있는 예절의 나라요, 군자의 나라가 아니겠는가?
- 동이열전(東夷列傳)

[전통윤리의 원시 신앙적 기초]

1. 독특한 문화와 윤리적 삶의 뿌리

     

2. 원시 신앙 [보충>한국 사상의 연원 : 원시신앙과 단군이야기]

    (1) 원시 신앙의 형태

    • 하늘을 비롯한 자연에 대한 숭배 : 토테미즘(totemism) -동식물 숭배 원시신앙


    (2) 윤리적 측면에서 주목되는 원시 신앙 : 경천애인(敬天愛人)

    • 경천 사상
    •   - 하늘을 경외[경천]하며 하늘을 닮아 사람들과 서로 사랑[애인]하면서 도덕적으로 사는 것

        - 종교적 차원[경천]에서 윤리적 차원[애인]의 의미로 전환

    • 무속 신앙(샤머니즘)
    • - 우리 민족의 윤리적 삶의 기반 형성

      - 천지 만물에 흐르는 기운과 하나되어, 그들의 도움으로 인간의 최고 행복을 실현

      - 무속의 본래 목표 : 인간과 자연의 합일

      - 현대 무속의 본질 왜곡현상 : 개인적인 복과 물질적 이득만 추구(祈福,기복신앙)

    • 경천애인 사상과 원시 신앙
    • -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통해 심화되어 다듬어짐

      - 한민족의 윤리 의식을 싹틔우는 정신적 씨앗

 

3. 단군(檀君)의 건국 이야기

    (1) 사상적 의의

    • 한민족의 윤리관, 가치관, 세계관, 건국 이념이 담김
    • 우리 민족의 원초적 관념과 생활 양식이 깃듬
    • 국가 위기시 민족의 주체성 회복의 정신적 지주

    (2) 윤리적 의의

    • 인본주의 : 인간 중심적 성격  
    • 천인 합일 사상 - 천상세계[환웅]와 지상세계[웅녀]의 조화된 통일된 세계관
    • 조화의 정신 : 환웅과 웅녀의 결합
    • 현실적 삶의 여러 영역에서 이상적 완성을 도모
    • 평화 지향

 

4. 우리의 옛 문헌과 중국 문헌

    • 동이열전 기록 - 동방예의지국
    • ≪후한서≫기록 - 천성이 유순 온화, 사리 분별, 노래와 춤, 멋과 여유를 즐기는 민족
    • [참고]우리나라 국호와 의미
      • 한국 : 삼한의 종족 명칭 또는 부족연맹체의 명칭에서 비롯된 말.
      • '한국' 어원 : '한'은 웃어른, 큰 사람, 그리고 추장을 상징한다는 설과 '크다'는 뜻을 갖고 있다는 설이 있는데, 모두 '큰 세력'이란 뜻을 가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 동이(東夷) : 이는 활을 잘 쏘는 종족을 가리킨다는 설과 이(夷)를 고문(古文)의 인(仁)과 같은 뜻으로 해석하여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의 의미로 풀이하는 설이 있다.
      • 근역(槿域) : 우리나라에 무궁화가 많이 자라고 있다는 뜻에서 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 기타 : 동국(東國)·해동(海東)·대동(大東)·진국(震國)·진역(震域)·진단(震檀)·청구(靑丘)

[유학, 불교, 도가적 전통]

1. 유, 불, 도의 영향

    (1) 불교와 유학 : 왕실 및 양반층에서 수용

    • 유학 :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고 그 안에서 윤리규범의 준수를 강조
    • 불교 : 인간의 세속적 구속을 벗어나 참된 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함.

    (2) 도가 : 민중들의 삶에 기반


2. 유학(儒學)의 위치

    (1) 지배 이념 : 조선 시대의 국가 이념


    (2) 의식 구조와 가치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

    • 효(孝)를 중시하는 가부장제
    • 정치, 사회 및 백성들의 풍속에까지 정착


    (3) 유학의 규범과 관습의 영향

    • 효를 매우 중시
    • 상하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서열 중시


3. 불교(佛敎)의 위치

    (1) '참된 나'-주인공, 진면목-를 찾을 것을 강조

    (2) 생노병사[4고,四苦]에서 벗어나 대자유[해탈,解脫]를 얻는 것이 목적

    (3) 인간의 내면적인 깨달음을 강조

    (4) 우리 민족의 윤리관 형성에 영향 : 모순과 대립을 넘어서는 화해와 조화의 정신

    (5) 우리나라 문화재 중에서 70~80%이상이 불교유물


4. 도가(道家)의 위치

    (1) 정신 세계에 영향을 줌

    (2) 삶의 방향 설정

    (3) 민중 도가의 윤리 의식(권선서 勸善書)이 우리나라 도가의 중심을 이룸


[전통사상의 새로운 해석]

1. 전통 윤리 사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1) 동학, 증산교, 원불교가 대표적 사상 공통점 : 유, 불, 도 전통 사상을 이어받아 새로운 해석을 내놓음

    (2) 특징 및 차이점

      [동학 성지, 용담정과 최제우 동상]
      -경주 용담정 전경도

    • 증산교
      - 무속과 도가의 전통을 나름대로 해석
      - 원한은 풀고, 은혜를 갚아야 이상적인 사회 를 건설함
    • 원불교 : 한국형 불교의 이상적인 윤리적 삶의 모습 제시


2. 그리스도교 사상의 전래

    (1) 200여 년 전의 가톨릭교회와 100여년 전의 개신교회 전래

    (2) 새로운 세계관 형성의 계기

    (2) 사랑과 정의의 실천

    (3)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 : 각종 사회 복지 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