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1.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 1.전통윤리 의미와 중요성
(1) 현대사회와 전통윤리
(교과서 10~16)

옛 것(전통)을 제대로 익히고 나서 새 것(현대)을 안다[溫故而知新].-논어(論語)

[현대사회의 삶과 전통]

      [사금파리 한 조각]

      린다 수 박

1. 현대 사회와 전통 가치

    (1) 『사금파리 한 조각』

       

    • 덕목 : 도공의 장인 정신, 용기, 책임감
    •  ‘린다 수 박’의 작품 : 한국의 전통 가치가 바탕
    • 미국인들이 한국의 전통 가치에 주목하고 있음

    (2) 전통적 가치에 대한 관심 고조의 배경

    • 물질적 성장에 반해 인간의 가치와 사회적 이상 타격
    • 자연의 황폐화, 과학 지상주의, 인간 생명에 대한 경시
    • 공동체와 사회 관계 질서의 기반인 도덕 원리 붕괴


2. 가치 위기와 전통적 가치

    (1) 세계적인 정신적 ․ 도덕적 위기 →동양의 도덕적 전통과 지혜에 주목하기 시작함

    (2) 동서양 가치 비교

    • ‘도리의 문화’ : 인간다운 생활을 중심으로 삼음 → 도덕적 측면을 강조함(동양)
    • ‘법의 문화’ : 계약을 중시 → 준법과 법적 제재를 통한 사회 질서 유지(서양)
    • ‘합리의 문화’ : 합리적 가치관 , 행동방식 중시

[전통의 의미과 전통윤리]

1. 21세기의 화두(話頭)

    (1) 인간 : 삶의 주제

    (2) 과학 : 삶의 방법 혹은 기체

    (3) 환경 : 삶의 조건

2. 전통 : 21세기 화두의 해결 단서

    (1) 전통 : 근본이 단절되지 않고 계속 이어짐

    • 전(傳)의 뜻 : 역과 같음. 시간적으로 연속, 공간적으로는 변화의 의미
    • 통(統)의 뜻 : 본과 같음. 근본 혹은 본질

    (2) 전통 윤리 : 주체성을 바탕으로 수용되어 오랜 기간에 걸쳐 공동 사회를 유지 ․ 번영 발전시켜 온 규범적 정신

    (3) 전통과 현대의 관계

    • 날실과 씨실의 관계
    • 뿌리와 가지의 관계
    • 유기적 일체 관계
              (*유기적 일체 : 상호 직접적인 관계를 가져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몸과 같은 관계'를 말한다.)

[현존하고 있는 전통 윤리의 모습]

1. 현대 사회의 변화와 전통적 가치

    (1)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변화

    • 유행의 변화
    • 과학 기술의 급변
    • 물질적 측면에서 변화가 빠름
       

    (2) 현존하는 전통 생활 양식

    • 구체적인 예 : ‘명절’과 귀성 행렬
    • 사람으로서의 도리를 다하는 것
    • 가족을 존중하는 가치관 내재

[추석 귀성객 : 추석을 이틀 앞둔 24일 서울역은 추석 귀성객들로 붐벼 8만 1천여명이 서울역을 거쳐 나갔다.-1969년 9월24일]/동아일보 사진DB 


    (3) 현존하는 전통적 가치

    • 기업체를 ‘한 가족’이라고 하는 경우
    • 일상 용어에서 ‘우리집’, ‘우리 가족’ 이란 말의 사용
    • 혼례나 상례에서 부조하여 서로 돕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