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윤리의 흐름과 특징 
            - 4. 세계 윤리  (2) 세계 윤리의 등장 배경
(교과서 125~129)
  
   
      
      
             [1] 생태계 파괴와 
            환경 오염
            1. 생태적 위기
            
            
                (1)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자연 환경의 파괴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순환과 재생 능력이 무너짐
                (2) 인간이 자연을 착취하고 파괴 →인간의 존속 자체가 위협 받는 상황
 
             
            2. 생태계 파괴에 대한 윤리적 접근
            
            
                
                    - 자연을 정복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지식을 강조
 
                    
                        -  “지식은 힘이다.”(베이컨), 
 
                        - “생각하는 나만이 확실하다.”(데카르트)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cogito, ergo sum / I think, therefore I am.)   
                     
                    - 자연을 일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생각 이후 서구의 자연관은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왜곡시킴
 
                 
                (2) 올바른 자연관의 확립
             
            
                
                    
                        | 
                                
                         | 
                     
                    
                        | 
                             최북 <표훈사도〉  38.5×57.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인간과 자연은 동반, 운명 공동체라는 인식
 
                    - 자연을 물질적 효용 가치의 측면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자연의 가치를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임
 
                
             
            3. 인간 중심적 자연관의 탈피
            
            [2] 핵확산 및 핵전쟁의 
            위험
 
            1. 핵전쟁의 위험성
            
                 (1) 지나간 역사의 참극과 위기들은 개별적인 문화권이나 지리적으로 한정된 공간에 국한되어 있었음 →인류의 생존이나 붕괴를 문제삼을 정도는 아니었음
                 (2) 핵전쟁은 전 지구와 전 인류에게 치명적이고, 인류의 미매를 완전히 부정하는 것임 →현재 지구상의 핵무기로 지구를 수차례에 걸쳐 초토화시킬 수 있음
 
             
            2. 군비 제한 노력의 한계
            
            3. 세계 윤리를 통한 해결
            
                 (1) 핵전쟁 위협의 해결은 국제적 협력에 의해서만 가능
                 (2) 전 인류를 위해 구속력을 발휘하는 세계 윤리에 의해서만 가능
                 (3) 세계가 차별의 윤리, 모순의 윤리, 투쟁의 윤리를 통해서는 더 이상 생존하기 힘들어짐 
             
             [3] 인구 폭발과 
            식량 부족 
 
            1. 급격한 인구증가
            
                 (1) 인구 증가의 추세
                
                     - 5억 →10억(200년), 10억 →20억(100년), 
 20억 →40억(35년) 
                    - 현재 인구는 60억, 2050년에는 100억 예상
 
                
                 (2) 인구 증가로 인한 문제점 
                
                     - 식량 ․ 에너지 ․ 물 ․ 주거 공간의 부족, 지구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인구는 100억 명으로 예상
  
                
             
            2. 심각한 식량 부족
            
                 (1) 제 3세계 국가에서는 현재 약 8억 명의 사람들이 기아 선상에 있고, 농산물 가격의 폭등이 예상됨
                 (2) 식량 대란을 막기 위한 방법
                
                     -  인구의 폭발을 막아야 함
 
                    -  우리의 생활 방식과 식생활 습관을 바꿔야 함
 
                
                 (3) 인식의 전환 필요 
                
                     - 인구 폭발이나 식량 위기는 가난한 사람이나 나라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의 문제라는 인식이 요구됨
  
                
             
            3. 기타 전 지구적 문제와 해결
            
                 (1)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 산성비, 열대림 감소, 사막화 현상
                 (2) 일부의 노력이나 단순한 사회 정책적 접근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으며, 전 지구적 기준을 지닌 하나의 세계 윤리를 실천할 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