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자연 / 불로장생
                1. 도교의 유래
                
                
                    - 중국의 민간 신앙에 노자 ․ 장자 등의 도가 철학이 가미되어 후한 때 체계화됨
                    
 
                    - 유교의 인의나 충효 사상은 형식적이고 가식적이라 규정하면서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삶(無爲自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함
 
                    - 팔관회 등의 도교 행사 거행 - 도관건립, 도사배정
  
- 불교와 함께 일반 서민의 삶을 위로해주는 종교적 기능을 조화롭게 담당했음.
 
 - 풍수 도참(風水圖讖) 사상
                
  
                2.  도교의 사상
                
                
                    - 무위 자연을 통한 신선 사상, 양생을 통한 불로 장생
                    
 
                    - 병은 정신이 악에 물든 결과이기에 먼저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실천해야 기도나 부적의 효과도 볼 수 있다고 가르침
                    
 
                    - 산악 ․ 자연을 숭배하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음. 우리의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기 좋아하는’ (喜飮酒歌舞)
풍속이 풍류 사상의 발전을 촉진시킴
                    
 
                    - 유교․ 불교와 함께 풍류도라고 불리우는 화랑도의 생성․ 발전에 기여
                    
 
                    - 고려 시대의 도교는 교단을 형성하지 못한 채 풍수 지리설 등 민간 신앙으로서 삼국 시대에 비하여 널리 확산됨
                    
 
                    - 도관을 건립하고 도사를 배정하여 팔관회와 같은 도교의 행사를 큰 규모로 거행
 
                    - 도교 문화재 - 백제의 산경문전, 
금동용봉봉래산대향로(국보 
287호)  : 도교적 이상향
 
  
                 
                
                    
                        | 
                             [심화학습] - 화랑도(花郞道) 사상 
     
    
        - 원화, 국선도(國仙道), 풍류도(風流道)
 
         - 가정, 국가의 안정과 발전, 삼국 통일에 큰 기여
 
         - 화랑의 생활-단체 생활, 심신단련, 무예 연마, 인격 도야를 위한 
        음악과 유희를 즐김 -풍류라 함.
 
         - 화랑도의 정신적 바탕과 계승     
  
 
                            
                                
                             - 고유의 전통
 
                          | 
                    
                             - 외래사상
 
                          | 
                    
                             - 신라
 
                          | 
                    
                             - 조선
 
                          | 
                 
                
                    
                             - 홍익인간                            
- 늠름한 기상                            
- 충의와 용맹
   
                          | 
                    
                             - 유교 - 충효사상                            
- 불교 - 계율사상                            
- 도교 - 심신도야
   
                          | 
                    
                             - 화랑도
 
                          | 
                    
                             - 선비사상
 
                          | 
                 
             
                    
                        
                    
                        - 事君以忠(사군이충) - 충으로써 임금을 섬기라.(충) 
                        
                        
 - 事親以孝(사친이효) - 효도로써 부모를 섬기라. (효) 
                        
                        
 - 交友以信(교우이신) - 믿음으로써 벗을 사귀라.(신의) 
                        
                        
 - 臨戰無退(임전무퇴) - 싸움에 임해서는 물러남이 없도록 
                        하라.(용맹) 
                        
 - 殺生有擇(살생유택) - 생명을 죽임에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자비) 
 
                          
                        
                             - 3덕(三德) - 경문왕의 
                            국선(國仙)시절
 
                         
                      
                    
                        - 겸허(謙虛) : 남의 위에 있을 만한 사람이면서도 겸손하여 
                        남의 아래에 처함.
 
                         - 검소(儉素) : 세력이 있고 부유하면서도 차림이 화려하지 
                        않음.
 
                         - 순후(淳厚) : 귀하고 세력이 있으면서도 순박하고 후하며 
                        그 위세를 보이지 않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