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간의 본성에 관한 학설
            
            
            
            
            
            
                - '인간의 성은 선하기도하며 악하기도 하다.'
 
                - 왕충(王充)의 [논형(論衡)] '본성론' : 인간의 
착한 성품을 길러서 돋우면 선이 자라고 악
 한 성품을 길러 돋우면 악이 자란다
  
                - 플라톤의 [국가론] : 인간의 영혼을 머리속의 이성(理性), 가슴 속의 의성(意性), 배와 사지에 속한 욕성(欲性)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성은 
합리적이고 욕성과 의성은 비합리적이고 충동적이다. 이성이 잘 조절되면 욕성도 선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 : 영혼을 이성과 비이성으로 나눈 것
 
            (5) 기타 : 성삼품설 
 
                
                    
                        |             
                         | 
                     
                    
                        | 
                             [석가모니(불), 
                            노자(도), 공자(유) : 위로부터] 
                         | 
                     
                 
                  
             
            2.  동양인의 인간관
            
            
                - 하늘의 기품과 땅의 형상을 부여받은 중간적 존재
                
 
                - 성선설의 인간관-극기 복례를 통한 인성 회복 강조
(맹자의 4단/성선설)
 
                - 윤리적 인간관-천지 조화에 기여하고, 만물과 화육할 수 있음
                
 
                - 이상적 인간상-군자(君子)
                
 
(2) 불교의 
                인간관  
             
            
                - 인간의 본성은 본래 맑고 깨끗하나 무지와 탐욕으로 인해 인생이 ‘고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깨달음’을 통해서 이를 극복해야 함
                
 
                - 인생론적 인간관-현실적인 고뇌의 극복을 조명함
                
 
                - 이상적 인간상 - 보살(菩薩)
                
 
(3) 도교의 인간관 
 
             
            
                - 무위의 인간관-인위나 세속적인 윤리 생활을 초월함
                
 
                - 자연적 인간관-대자연의 흐름에 맡겨 살아감
                
 
                - 이상적 인간상-지인, 신인
                
 
             
  
            3. 서양인의 인간관
            
            
                -  인간다운 사람-이성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
 
                
                    -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Man is a thinking 
                    reeds)- 파스칼
 
                     
                 
             
            
                -  이성(理性,reason) -자연 법칙을 이해하고 이용하는 도구가 되기도 하며, 주어진 것을 의심,비판,반성할 수 있음
 
                - 이성의 기능
 
                
                    - 직접적이고 1차적인 감각이나 감정의 차원을 벗어나게 해줌
 
                    - 외부 자극에 대해 창조적으로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게 해줌.
 
                    - 학문과 사상, 제도나 기술 등을 발전시킬 수 있는 원동력. 
  
                 
             
 
 
            
            
                - 인간 -  신의 모사(模寫, 닮은 꼴)로 여겨 자유 의지, 문화 창조 능력, 도덕적 책임의 존재로 봄
                
 
                
- 원죄(原罪)를 지은 존재로서 속죄주이신 예수 크리스토를 통해서만 구원과 영생이 가능함.
                
 - 하느님의 모사와 자유의지를 지닌 본질적 
                인간 → 하느님과의 관계 단절과 원죄를 지닌 
                실존적 인간 → 예수를 통한 본질적 
                인간 회복
 
                 
             
            
                -  세계관-인간은 자연보다 존엄하며, 자연을 정복하고 이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봄
 
                (3) 
                기타 : 자연주의적 인간관   
             
- 인간 - 자연의 일부이자 유기적 물질, 마음은 물질이 발전한 산물(産物)
 
 -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을 알며, 그 법칙대로 생각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 
 - 합리주의적 인간관으로 발전함.
  
              
            4. 한국의 인간관
            
                - 홍익 인간의 이념-풍요로운 삶과 선량한 인심,화평한 사회를 추구하는 인도주의적 이념이자, 한국 윤리 사상의 이상, 
                
 
                - 홍익 인간의 의미-인간 존중과 이타주의(利他主義), 만민 평등 사상, 천지 조화라는 묘합(妙合)의 원리가 담김.
 
                
- 홍익인간(弘益人間)의 뜻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
                
  
                - 유교의 왕도(王道) 사상, 불교의 자비를 실천하는 보살행(菩薩行)과 같은 민족 정신으로 발전
  
             
            
- 조화의 인간관 - 화쟁(和諍)과 오수(悟修)에 따른 조화를 중시
 
 - 불성(佛性)을 가진 존재 - 인간은 모두 존귀하고 평등한 존재
                
 - 끊임없는 수행으로 자기 자신의 
참모습[진면목(眞面目)]을 깨닫고 희열(열반)을 유지함.
  
 
- 성선설의 인간관 - 인간의 심성은 순선(純善)함. 
                욕심 때문에 악행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
 
 - 수기, 수양의 강조 - 부단히 공부하고 수양하여 이기심과 욕심(人欲)을 씻어 냄. 
                 극기복례(克己復禮)
 
  
- 혈기적(血氣的) 존재 - 자연으로부터 독립된 존재, 우주의 기와 인간의 혈기를 엄격히 구분
 
 - 자율적 인격의 주체 - 인간은 자연 앞에서 독존함.
 
 - 현실적 존재 - 누구나 평등하게 자신의 욕구를 발현하며 충족시켜 나감. 
 
 - 인간 존중, 백성들의 경제적 안정과 위민 민본(爲民民本) 사상.
  
- 조선 말기의 민족 신흥 종교 사상
 
 - 교시 - 천주를 모시라.(侍天主)
 
 - 인내천(人乃天)의 인간관 - '사람이 곧 하늘이다.'
                
 - 인간 존중 사상과 평등 사상 제시함.
                
 
 
         |